• 1980
  • 1990
  • 2000
  • 2010
  • 2020
40년 역사와 발자취
40주년 발자취
KISDI Timeline
1980s 정보화 사회를 준비하는 연구기관의 태동
1980's
정보화 사회를 준비하는
연구기관의 태동

1980년대 정보화 흐름 속에 정부는 통신정책국 신설, 통신망 확충, TDX-1 개발 등 기반 조성을 추진하고
통신 서비스와 관리체계를 대대적으로 개편했다. 민간 중심 논의에서 시작된 정보통신 발전 전략은
제5차 경제개발계획에 반영되며 국책 차원으로 격상되었다.

정부는 통신정책 전문 연구 기반 마련을 위해 민간연구소를 개편, 1985년 통신정책연구소를 출범시켰다.
연구소는 초기 통신요금, 민영화, 정보화 대응 등 정책 연구를 수행하며 우리나라 통신정책 싱크탱크로 자리잡았다.

정보화 사회 진전에 따라 정책 수요가 급증하자, 정부는 민간 연구기관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1987년 특별법을 제정해 통신정책연구소를 통신개발연구원으로 확대 및 개편했다.
1988년 공식 출범한 국책연구원은 중장기 통신정책과 정보화 전략 수립을 본격적으로 담당하게 되었다.

  • 1985

    • 02.04.

      통신정책연구소(ICR) 개소

    • 10.15.

      정보통신분야 장기 전망 간담회

    • 11.26.

      전화통화 수요와 전화 공급정책 연구발표

    • 12.12.

      정보통신산업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 연구발표

    • 12.13.

      벤처비즈니스 육성방안 연구발표

    1985.02.04.
    통신정책연구소(ICR) 개소
  • 1986

    • 03.15.

      전기통신과 국가발전 정책 연찬회

    • 04.12.

      정보통신분야 국책연구개발 방향 연찬회

    • 07.22.

      ICR-일본 RITE 연구협력 조인식

    • 10.23.

      정보통신과 국가발전 한·일 학술대회

    1986.07.22.
    ICR-일본 RITE 연구협력 조인식
  • 1987

    • 02.27.

      우편번호 개편 공청회

    • 05.11.

      통신위성의 현황과 전망 연찬회

    • 05.27.

      미래사회와 정보통신의 역할 세미나

    • 08.27.

      미래정보사회와 교육 학술대회

    • 11.28.

      통신개발 연구원법 공포(법률 제3952호)

    1987.05.27.
    미래사회와 정보통신의 역할 세미나
  • 1988

    • 01.30.

      통신개발연구원 설립 현판식

    • 05.01.

      해외진출 전략국가 정보통신인력 초청연수사업

    • 06.02.

      민주사회 발전을 위한 정보화과제 심포지엄

    • 11.18.

      시내 통화시분제 도입 공청회

    • 12.14.

      한국 정보통신산업육성방안 심포지엄

    1988.11.18.
    시내통화 시분제 도입 공청회
  • 1989

    • 06.08.

      정보사회와 프라이버시 학술대회

    • 06.13.

      정보통신산업의 발전방향 국제학술대회

    • 08.22.

      전기통신요금정책과 소비자물가지수 토론회

    • 10.12.

      정보통신정책 발전방향: 민영화와 국제무역 국제 학술대회

    1989.06.08.
    정보사회와 프라이버시 학술대회
1990s 통신 개방 압력 대응과 시장구조 개편 주도
1990's
통신 개방 압력 대응과
시장구조 개편 주도

통신개발연구원은 정보화사회 조기 정착을 위해 정책·지역정보화·보안연구를 수행하고,
ADB 등 해외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국제협력을 확대했다. 1994년에는 과천 청사를 신축해 연구 기반을 한층 강화했다.

1997년 외환위기 당시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벤처 육성, 수출 확대,
고용 창출 등 정보통신 기반 성장 전략을 제시하며 위기 극복 정책을 주도했다.
아울러 통신시장 경쟁체제 도입과 민영화 방안 마련 등 구조개혁 핵심 과제를 수행하며 정부 정책을 뒷받침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1999년 ‘사이버 코리아 21’ 수립을 주도하고 전자상거래, 소프트웨어산업,
정보통신 벤처 육성 등 지식기반사회 조기 정착을 뒷받침했다.
2000년 이후에는 디지털경제 기반 조성과 IT산업 성장 전략을 제시하며 제도 개선과 정책 수립에 기여했다.

  • 1990

    • 03.30.

      정보통신발전과 경제구조조정 세미나

    • 04.27.

      정보사회 종합대책수립 공개토론회

    • 06.18.

      통신사업 구조조정 공개토론회

    • 06.19.

      국제화와 정보통신 학술대회

    • 10.11.

      국제VAN과 국민 경제 국제학술대회

    1990.03.30.
    정보통신발전과 경제구조조정 세미나
  • 1991

    • 03.06.

      태평양경제협력회의: 교통통신관광 서울국제회의

    • 08.29.

      공중전화사업 중장기 발전방향 공청회

    • 10.26.

      시장개방과 미디어산업의 정책적 대응 심포지엄

    • 11.07.

      국제화·지역화·정보화 국제학술대회

    1991.11.07.
    국제화·지역화·정보화 국제학술대회
  • 1992

    • 03.30.

      OECD·CCP/KISDI/TIDE2000 CLUB 국제학술대회

    • 05.08.

      남북한 통신방송우편 교류촉진 학술대회

    • 05.19.

      전화요금 구조조정 공청회

    • 06.26.

      체신금융의 미래 국제학술대회

    • 07.03.

      21세기를 향한 정보통신정책토론회

    1992.06.26.
    체신금융의 미래 국제학술대회
  • 1993

    • 07.14.

      금융환경 변화에 따른 체신금융의 방안 학술세미나

    • 09.04.

      두만강지역개발계획(TRADP) 제3차 통신전문가회의

    • 10.08.

      정보기술혁신과 국민경제 국제학술대회

    • 11.15.

      UR기본통신 다자간협상

    1993.07.14.
    금융환경 변화에 따른 체신금융의 방안 학술세미나
  • 1994

    • 01.20.

      UR협상과 향후 통신정책방향 강연회

    • 06.08.

      통신사업 구조개편방향 공청회

    • 10.13.

      KISDI-CSIS 초고속정보통신망 국제학술대회

    • 10.31.

      중국 우정국 체신금융 대표단 초청세미나

    • 11.05.

      통신개발연구원 청사(경기도 과천시 주암동) 준공식

    1994.11.05.
    통신개발연구원 청사 준공식
  • 1995

    • 04.26.

      KISDI-OECD 주최 초고속정보통신기반 세계질서국제학술대회

    • 07.26.

      통신사업 경쟁력강화를 위한 기본정책방향 공청회

    • 10.23.

      WTO기본통신협상 대응방향 공청회

    • 10.26.

      무선호출 경쟁력 강화 세미나

    • 12.05.

      정보통신의 산업 응용을 위한 정책토론 심포지엄

    1995.07.26.
    통신사업 경쟁력강화를 위한 기본정책방향 공청회
  • 1996

    • 04.29.

      정보통신 번호체계 개선 세미나

    • 07.04.

      통신사업 경쟁확대 및 신규사업 도입 토론회

    • 07.23.

      한·EU 통신조달 협상

    • 09.04.

      114안내서비스 유료화 공청회

    • 10.19.

      제1차 ITU세계전기통신정책포럼

    1996.04.29.
    정보통신 번호체계 개선 세미나
  • 1997

    • 01.29.

      WTO 기본통신 최종협상

    • 04.01.

      GMPCS-MOU 서명자회의 및 협정작성실무반 회의

    • 06.17.

      통신과 방송의 융합 국제학술세미나

    • 07.12.

      정보인프라구축과 SW산업의 발전방안 공청회

    • 08.30.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으로 명칭 변경

    1997.06.17.
    통신과 방송의 융합 국제학술세미나
  • 1998

    • 01.09.

      IMF극복을 위한 과학기술·정보통신 정책세미나

    • 04.15.

      물류정보화 비전과 전략 정책토론회

    • 05.01.

      APT 개도국 정보통신인력 국내초청연수사업

    • 08.26.

      케이블TV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토론회

    • 11.13.

      정보통신기술자격제도 개선 정책토론회

    1998.08.26.
    케이블TV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토론회
  • 1999

    • 01.22.

      통신요금 규제제도의 개선방향 정책토론회

    • 02.04.

      지식기반국가건설 정책토론회

    • 08.01.

      차세대 중국 통신지도자 초청교육

    • 09.17.

      차세대 이동통신서비스 관련 가격경쟁방안도입 정책토론회

    • 10.27.

      보편적서비스 제도 정립방안 정책토론회

    1999.09.17.
    차세대 이동통신서비스 관련 가격경쟁방안도입 정책토론회
2000s IT 한국의 위상 정립
2000's
IT 한국의 위상 정립

2000년대 초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정부의 IT산업 육성정책을 실질적으로 뒷받침하며 벤처정책, 방송통신 융합, 지역정보화, 정보사회 법제도 등 분야별 연구를 주도했다. 특히 2003~2007년 ‘21세기 한국 메가트렌드’ 프로젝트를 통해 IT 기반 미래전략을 제시하고, 2006년 중장기 통신정책 로드맵 발표로 규제개혁과 시장 경쟁 촉진을 이끌었다. 또한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한중 연구교류, APEC·OECD 협력, 베트남·미얀마 프로젝트 수행 등 국제 협력을 강화하며 글로벌 연구기관으로 도약했다. 한미 FTA IT 협상 지원과 북한 정보통신 연구도 병행하며 국제정책 자문역할을 주도했다.

2008년 방송통신위원회 출범 이후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방송통신 융합 정책, 디지털 전환, 콘텐츠산업 진흥 등 제도 설계와 정책 연구를 선도했다. 조직개편과 50여 회 이상 세미나를 통해 공공성·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기반을 마련하고, 글로벌 미디어 정책 비교와 통계시스템(KISDI STAT) 구축 등도 주도했다. 2008년 이후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주파수 경매제 설계, LTE·TDD 정책 지원, 단통법 및 요금 규제 개선 등 통신시장 경쟁 촉진에 주력했다. MVNO 활성화와 중장기 통신정책 제안 등을 통해 스마트시대 통신서비스 고도화를 이끌었다.

  • 2000

    • 04.28.

      디지털경제: 새로운 환경·새로운 정책 정책토론회

    • 06.13.

      IMT2000 정책방안 공청회

    • 06.22.

      사이버스페이스와 법 워크숍

    • 07.14.

      정보통신산업발전 종합계획 1차 워크숍

    • 07.26.

      발신번호 표시서비스 도입 공청회

    2000.06.13.
    IMT2000 정책방안 공청회
  • 2001

    • 03.15.

      한국통신 민영화방안 마련 공청회

    • 06.09.

      KISDI-SJE 국제심포지엄 통신산업의 비용배분

    • 10.09.

      시장환경변화에 따른 이동전화요금 현안 공청회

    • 10.25.

      한·베트남 IT포럼

    • 11.16.

      전파분야 자격제도 개선 정책토론회

    2001.11.16.
    전파분야 자격제도 개선 정책토론회
  • 2002

    • 06.07.

      KISDI-OECD ICT간담회

    • 09.01.

      KISDI-DGF-ICT교육훈련센터(KTC) 설립협약 체결

    • 10.07.

      인터넷주소자원관리법 제정 공청회

    • 11.14.

      동아시아 정보격차해소 국제 심포지엄

    • 11.22.

      베트남 및 미얀마 IT정책·기술 자문단 파견

    2002.11.14.
    동아시아 정보격차해소 국제 심포지엄
  • 2003

    • 08.28.

      IT의 사회·문화적 영향연구: 21세기 한국 메가트렌드 워크숍

    • 10.04.

      KISDI-NIPTS 연구협약 체결

    • 10.27.

      KISDI-HRCFS 미래연구 상호협력 협정체결

    • 12.04.

      융합시대의 IT정책 국제학술대회

    • 12.18.

      이동통신과 모바일정부의 구현 국제 심포지엄

    2003.12.18.
    이동통신과 모바일정부의 구현 국제 심포지엄
  • 2004

    • 01.07.

      정보격차해소 방향과 전략 세미나

    • 04.02.

      KISDI CI변경

    • 05.10.

      이동통신의 발전과 정보격차 국제학술대회

    • 05.31.

      지상파 이동멀티미디어방송 도입 공청회

    • 08.12.

      와이브로 휴대인터넷 허가정책 공청회

    2004.05.10.
    이동통신의 발전과 정보격차 국제학술대회
  • 2005

    • 03.03.

      KISDI 창립20주년 기념행사 및 20년사 발간

    • 05.20.

      국가발전 위한 미래연구 추진전략 심포지엄

    • 09.06.

      Asian DHX 포럼 2005

    • 10.25.

      단말기보조금 정책방향 공청회

    2005.03.03.
    KISDI 창립20주년 기념행사 및 20년사 발간
  • 2006

    • 03.16.

      전파법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 공청회

    • 05.11.

      한·미 FTA 통상협상 대비 정책토론회

    • 05.22.

      동북아공동체 구축과 대학의 역할 심포지엄

    • 11.24.

      결합판매 제도개선 정책방향 공청회

    • 12.11.

      분류제도 개선방안 마련 공청회

    2006.05.11.
    한·미 FTA 통상협상 대비 정책토론회
  • 2007

    • 02.15.

      통신시장 경쟁상황평가 제도화 공청회

    • 03.23.

      한·일 APII 테스트베드 개통

    • 06.05.

      인터넷전화 번호이동 제도 공청회

    • 09.13.

      세계여성포럼 공동 ‘여성과 IT’포럼

    • 10.30.

      한·아세안 u-ICT포럼(세르비아)

    • 11.04.

      KISDI 글로벌 컨퍼런스 2010: Beyond IT Convergence: Innovation to the Future

    2007.06.05.
    인터넷전화 번호이동 제도 공청회
  • 2008

    • 02.26.

      선진IT 통상포럼

    • 04.30.

      공공정보화 선진화전략 심포지엄

    • 06.16.

      IPTV콘텐츠사업 규제제도 세미나

    • 10.21.

      방송경쟁력 강화와 공공성 구축 워크숍

    • 11.13.

      글로벌 방송통신 컨퍼런스 2008-디지털융합, 기회와 도전

    2008.02.26.
    선진IT 통상포럼
  • 2009

    • 03.18.

      방송광고판매제도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 03.31.

      방송통신융합 1년의 성과와 전망 심포지엄

    • 04.17.

      국가정보화 선진화방안 심포지엄

    • 06.12.

      ‘그린 ICT: 도전과 기회’ 국제컨퍼런스

    • 11.12.

      디지털 컨버전스와 한국사회의 미래 심포지엄

    • 11.26.

      2009 한국 인터넷 문화의 특성과 발전방안 심포지엄

    2009.03.31.
    방송통신융합 1년의 성과와 전망 심포지엄
2010s 4차 산업혁명의 미래를 준비하다
2010's
4차 산업혁명
미래를 준비하다

2010년대 스마트 생태계 확산 속에서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ICT 거버넌스 재정비, 전자정부 기반 마련, 망중립성 논의 선도, 국가 ICT 아젠다 제시 등 정책 방향을 주도했다. 또한 글로벌 컨퍼런스를 개최하며 국제 논의의 장도 마련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2013년 창조경제연구실을 신설하고 ICT 융합산업 육성, 중소벤처 창업·성장, 기술거래 촉진 등 미래전략 정책연구를 적극 수행했다. 더불어 ICT 기반 중소기업 진흥, 일자리 창출, 콘텐츠 산업 육성 등에도 정책적 지원을 이어갔다.

2014년 충북혁신도시로 이전한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청사 건립과 조직 개편을 단행하고, ICT 산업과 정보사회에 대한 정책 연구와 통계 분석 기능을 강화해 국가 정책을 뒷받침했다. 또한 사물인터넷, 융합서비스 등 미래 ICT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전략 과제를 발굴하며 연구 역량을 결집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AI·빅데이터 등 핵심 기술의 법제도 기반과 사회적 수용성 연구를 통해 국가전략 수립을 선도했다. 초연결사회, 디지털 전환, 사람 중심 ICT 정책을 기치로 심포지엄과 글로벌 협력 활동을 전개하며 이용자 보호와 ICT통계 강화로 국가 전략 수립을 뒷받침했다.

지상파 쇠퇴와 유료방송 성장, OTT 등장 등 방송시장 변화에 맞춰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방송광고 규제 완화, 외주제작 가이드라인 마련, 스마트미디어 제도화 등 공정경쟁 기반을 마련하고 융합 시대 방송정책 방향을 선도했다.

데이터 중심 시대에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재난안전통신망 구축,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 5G 주파수 정책 등 공공성과 경쟁 촉진을 위한 제도 개편을 선도하고, 통신시장 구조 개선과 이용자 권익 제고를 위한 연구로 상생 기반 마련에 기여했다.

  • 2010

    • 03.16.

      010번호 통합정책 추진방안 토론회

    • 04.30.

      KISDI 창립25주년 기념 국제세미나

    • 09.02.

      종합편성·보도전문 방송채널사용사업자 승인 기본계획(안) 공청회

    • 10.27.

      KOREA-월드뱅크 공동 워크숍(몽골, 튀니지, 일본)

    2010.03.16.
    010번호 통합정책 추진방안 토론회
  • 2011

    • 01.18.

      방통융합과 세계 주요국의 미디어지형 변화 심포지엄

    • 05.26.

      ‘스마트 시대 망중립성 정책방향: 네트워크 개방 및 관리방안’ 토론회

    • 09.01.

      디지털 방송시대를 준비하는 통합방송법제 하의 채널정책 토론회

    • 11.18.

      KISDI 글로벌 컨퍼런스 2011: A New Frontier of ICT ecosystem: Cloud Computing & Smart Device(SmartPhone & SmartTV)

    • 12.07.

      통신비 개념 재정립 및
      통신편익지수 산정을 위한 토론회

    2011.12.07.
    통신비 개념 재정립 및 통신편익지수 산정을 위한 토론회
  • 2012

    • 03.15.

      ‘ICT 10대 아젠다: 19대 국회에 바란다’ 소통과 창조 포럼 토론회

    • 07.13.

      통신망의 합리적 관리·이용과 트래픽 관리의 투명성에 관한 토론회

    • 09.03.

      KISDI 글로벌 컨퍼런스 2012: Internet & the ICT Ecosystem

    • 09.09.

      제23차 KISDI-SRPA/SRI 한·중 우정연구 교류협력 워크숍

    • 10.25.

      방송사업자 콘텐츠 경쟁력 평가 및 인력실태조사 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 11.27.

      2012 개도국 방송통신 정책자문 및 협력사업 결과 발표회

    2012.09.09.
    제23차 KISDI-SRPASRI
    한·중 우정연구 교류협력 워크숍
  • 2013

    • 02.01.

      창조경제를 위한 미래창조과학부의 비전과 과제 토론회

    • 05.08.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방안 정책토론회

    • 08.05.

      종합편성·보도전문 방송채널사용사업자 재승인 세부심사기준(안) 전문가 토론회

    • 10.24.

      KISDI 글로벌 컨퍼런스 2013: ICT생태계의 한·중 협력과 공진

    • 11.25.

      2014 ITU 전권회의 준비 글로벌 포럼: 창조경제와 ICT 미래전략

    2013.02.01.
    창조경제를 위한 미래창조과학부의 비전과 과제 토론회
  • 2014

    • 01.20.

      2.5㎓ 대역 시분할 방식(TDD) 주파수 할당 계획(안) 토론회

    • 06.24.

      단말기 보조금 상한 정책방안 토론회

    • 06.30.

      진천청사(충북 진천군 정통로) 완공 및 충북 혁신도시 이전

    • 09.19.

      KISDI-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공동세미나 ‘포스트휴먼 기술의 인문학적 이해와 ICT혁신의 미래’

    • 11.07.

      KISDI 글로벌 컨퍼런스 2014: ICT Convergence and Industrial Innovation

    • 11.28.

      핀테크 산업 국제 컨퍼런스: IT융합을 통한 금융 혁신

    2014.11.28.
    핀테크 산업 국제 컨퍼런스 IT융합을 통한 금융 혁신
  • 2015

    • 06.08.

      ‘인기론(人技論), 인문과 기술의 만남’ 열린 포럼

    • 09.04.

      제3회 한국미디어패널 학술대회

    • 09.11.

      초연결사회와 사물인터넷 특별세미나

    • 09.23.

      개인정보보호 이슈의 지형변화와 국제규범 형성 전략 세미나

    • 11.04.

      KISDI 글로벌 컨퍼런스 2015 ‘인터넷의 미래: 더 나은 연결을 위해'

    2015.09.04.
    제3회 한국미디어패널 학술대회
  • 2016

    • 02.25.

      중장기 방송정책의 기본방향 및 정책과제 워크숍

    • 03.04.

      이동통신 주파수 경매 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 06.01.

      서비스경제 활성화를 위한 융복합 촉진방안 세미나

    • 11.03.

      남북 방송통신 국제컨퍼런스

    • 12.02.

      매체별 및 매체공통 광고규제 개선방안 토론회

    2016.11.03.
    남북 방송통신 국제컨퍼런스
  • 2017

    • 02.02.

      제4차 산업혁명과 통신정책의 혁신 정책토론회

    • 06.30.

      4차 산업혁명과 ICT 컨퍼런스

    • 07.06.

      지능정보사회에서의 이용자 보호 이슈와 정책방향 학술세미나

    • 07.21.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을 위한 정책토론회

    • 09.21.

      방송사-외주사간 공정거래 환경조성을 위한 세미나

    2017.07.21.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을 위한 정책토론회
  • 2018

    • 02.28.

      4차 산업혁명과 블록체인 컨퍼런스

    • 06.29.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시티 컨퍼런스

    • 07.04.

      글로벌 OTT사업자 비즈니스 전략 및 국내 시장 전망 세미나

    • 09.14.

      4차 산업혁명과 데이터 경제 컨퍼런스

    • 12.13.

      4차 산업혁명과 혁신성장: 5G와 데이터 컨퍼런스

    2018.02.28.
    4차 산업혁명과 블록체인 컨퍼런스
  • 2019

    • 05.08.

      규제 혁신의 성과와 과제 컨퍼런스

    • 06.19.

      방송 공동제작 국제 컨퍼런스

    • 09.03.

      데이터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 과제 세미나

    • 10.29.

      4차 산업혁명 선도를 위한 AI 경쟁력 강화방안 세미나

    • 12.05.

      제1회 지능정보사회 이용자보호 국제컨퍼런스

    2019.05.08.
    규제 혁신의 성과와 과제 컨퍼런스
2020s 디지털 미래 전략을 선도하다
2020's
디지털 미래 전략
선도하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대전환에 대응해 중장기 국가전략과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디지털경제·AI·데이터 기반 미래 예측과 경쟁력 강화 방안을 주도했다. 디지털 전환 지수 개발, 미래전망대회, 디지털 대전환 메가트렌드 연구 등을 통해 정책 기반을 다졌다.

2018~2022년 OTT 확산에 따른 미디어 시장 변화에 대응해 규제 체계 개편, 방송광고 네거티브 규제 전환, 외주제작 상생 가이드라인 수립, UHD 활성화, 방송통계 개선 등을 통해 지속 가능한 미디어 생태계 조성과 공정경쟁 기반 마련에 기여했다.

2020~2022년 디지털 플랫폼 생태계 조성, 2020년 AI 윤리 기준 제정 및 교육 확산, 2021년 이용자 보호 원칙 정립, 2022년 메타버스 윤리 원칙 마련 등 AI·디지털 사회의 공공성과 신뢰 기반 구축을 선도했다. 또한 5G 시대 대비를 위해 부가통신 안정성, 앱마켓 규제, 전기통신사업법 개정 등 통신서비스 제도 개선을 주도하고, 주파수 재할당·특화망 정책 수립을 지원했으며, ICT 국제통상 대응과 ODA 협력으로 글로벌 협력 기반도 강화했다.

2023년 통신시장 경쟁 촉진 TF 참여와 공개토론회 개최를 통해 알뜰폰 도매대가 인하, 신규사업자 전용 주파수 설계 등 통신시장 경쟁 활성화 방안을 도출했다. 전기통신사업법 개편, 중고폰 인증제 도입, 이용자 맞춤 요금 고지 제안 등 이용자 권익 확대에도 기여했으며, 6G 시대를 대비해 위성통신과 네트워크 생태계 전환 전략을 제시하며 지속가능한 통신 발전 기반을 마련했다. 2023~2024년 OTT 시대 건전한 미디어 생태계 조성, 글로벌 콘텐츠 경쟁력 강화, 디지털미디어 시장 분석과 OTT 규제 개편 연구를 통해 산업 성장 기반을 마련했다. 또한 ICT ODA 정책자문으로 가나, 몽골, 페루, 라오스의 디지털 전환과 5G 전략 수립을 지원하며 개도국 디지털 역량 제고에 기여했다. 그리고 ‘디지털 심화‧보편화’ 시대에 대응해 새로운 비전과 전략을 수립하고, 디지털 권리장전·플랫폼 자율규제·데이터 기반 정책체계를 선도하며 글로벌 디지털 질서 정립과 디지털 공동번영사회 구현에 기여했다.

  • 2020

    • 04.24.

      지능정보사회 이용자보호 민관협의회 발족

    • 07.10.

      KISDI-충북연구원-충북과학기술혁신원, 국가 및 충북지역 ICT 정책연구 활성화 MOU 체결

    • 10.06.

      NRC-NST-NAEK 합동포럼 ‘국가혁신전략으로서 디지털뉴딜과 그린뉴딜 발전방향’

    • 11.13.

      안전한 AI 사회를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 심포지엄

    • 12.17.

      2021 대한민국 종합 미래전망대회 ‘데이터 미래를 만나다’

    2020.10.06.
    NRC-NST-NAEK 합동포럼
    ‘국가혁신전략으로서 디지털뉴딜과 그린뉴딜 발전방향’
  • 2021

    • 07.27.

      유료방송 제도 개선방안 온라인 공청회

    • 09.10.

      온라인 플랫폼 규제정책 방향과 이슈 세미나

    • 12.07.

      2021 ICT ODA 성과공유 워크숍

    • 12.09.

      2021년 제1회 디지털 대전환 메가트렌드 컨퍼런스 ‘디지털대전환: 다시 설계하는 미래’

    • 12.09.

      2022 대한민국 종합 미래전망대회 ‘경천민의: 데이터로 읽는 국민의 소리’

    2021.12.09.
    2021년 제1회 디지털 대전환 메가트렌드 컨퍼런스
    ‘디지털대전환 다시 설계하는 미래’
  • 2022

    • 05.18.

      공영방송의 공적 책무와 협약제도 토론회

    • 07.27.

      ICT 연구기관 공동 컨퍼런스 ‘Digital Triangle Initiatives’

    • 11.24.

      인공지능 윤리확산을 위한 공개 정책세미나

    • 11.29.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을 위한 토론회

    • 12.26.

      정보통신방송과 국제개발협력 포럼

    2022.05.18.
    공영방송의 공적 책무와 협약제도 토론회
  • 2023

    • 08.13.

      새로운 디지털 질서 정립을 위한 사회적 공론화 제3차 인공지능 윤리정책 포럼

    • 09.04.

      의료과학, 정보통신 융복합 연구협력 및 학술교류를 위한 KISDI-중앙대학교 MOU

    • 07.11.

      5G 28㎓ 신규사업자 주파수 할당계획(안)에 대한 공개 토론회

    • 09.21.

      2023 방송 공동제작 국제 컨퍼런스(IBCC 2023)

    • 11.03.

      생성형 인공지능의 적정한 활용과 책임있는 발전을 위한 사회적 과제 심포지엄

    2023.09.21. 2023 방송 공동제작
    국제 컨퍼런스(IBCC 2023)
  • 2024

    • 09.30.

      인공지능서비스 이용자보호 컨퍼런스
      ‘인공지능 시대의 이용자 경험과 대응’

    • 11.01.

      2024 ICT 기반 사회현안 해결방안 연구 심포지엄
      ‘노동친화적 인공지능의 가치와 사회적 과제’

    • 11.28.

      플랫폼 자율규제, 현재 그리고 미래 컨퍼런스

    • 12.23.

      ‘플랫폼 민간 자율기구 데이터·AI, 혁신공유·거버넌스 분과’ 최종보고회

    2024.12.05.
    제4회 디지털 대전환 메가트렌드 컨퍼런스
  • 2025

    • 06.26.

      KISDI 40주년 컨퍼런스
      'AI 시대, 바람직한 규범에 대한 고찰'

    2025.06.26.
    KISDI 40주년 컨퍼런스 'AI 시대, 바람직한 규범에 대한 고찰'